허브이야기2023. 5. 2. 18:09

월간 일류도시대전 5월호 _ '허브이야기' 칼럼

 

 

바다의 이슬, 로즈메리

기억력을 높여주는 서양 허브의학의 ‘만병통치약’

 

 

‘허브’ 라는 단어를 들으면, 제일 먼저 무엇이 떠오르는가? 연둣빛 허브차, 향기로운 에센셜오일, 아로마테라피 마사지, 실내용 디퓨져, 기능성 화장품과 건강식품... 허브 사용의 여러 갈래들 중에서, 아마도 가장 가까이에서 허브를 만날 수 있는 수단은 식물원이나 꽃집에서 판매하는 작은 허브 화분을 통해서일 것이다. 글쓴이 역시 어린 시절 동네 화원에서 작은 화분을 구입하면서 허브를 처음 접했다. 크기도 작고 영 수수해 보이는데, 살짝만 잎을 스쳐도 산뜻한 향기가 강렬하게 풍겨온다는 게 무척 신기하고 놀라웠다. 바질, 민트, 라벤더, 로즈메리..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허브들 중에서, 가정에서 재배하기에 어렵지 않은 편이고, 다년생이어서 오랫동안 두고 기를 수 있으며, 생활 속에서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더욱 매력적인 로즈메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로즈메리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이슬(ros)+바다(marinus), 즉 ‘바다의 이슬'이라는 뜻으로, 바닷가에서 잘 자라는 데다, 연푸른 빛깔의 작은 꽃들이 활짝 핀 모습이 마치 이슬이 맺힌 모습 같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기원전 메소포타미아 시대의 석판에 언급되었을 정도로 인간과 함께해 온 역사가 매우 깊다. 고대 이집트의 무덤에서도 로즈메리 가지가 발견되었으며, 그리스의 식물학자 디오스코리데스가 쓴 의학서 ‘약물지(De Materia Medica)’에도 그 기록이 남아 있다. 서기 800년 경 프랑크 왕국 카롤루스 대제는 ‘영지 관리에 관한 법령집’을 발표하면서 로즈메리를 포함한 100여 종의 허브와 채소, 유실수를 심도록 권장하였는데 이는 유럽 전역에 허브가 더 널리 보급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렇듯 오랜 시간에 걸쳐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간 로즈메리는 특별한 순간의 상징적 존재로도 활용되었다. 맹세, 서약, 충실함의 징표로써 결혼식에 쓰이며 신부의 화관을 장식했고, 장례식에서는 ‘망자에 대한 영원한 기억’의 의미로 관 위에 놓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로미오와 줄리엣’의 한 장면에도 등장한다.

 

이처럼 이야기에서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로즈메리에는 기억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몸 전체의 순환 작용을 활발하게 하며, 특히 뇌에 혈액과 영양, 산소를 공급하여 집중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키고, 신경세포의 사멸을 줄여 알츠하이머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강력한 항염증,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고, 근육통을 완화시키며, 혈압과 혈당을 알맞은 범위로 조정한다. 소화 기능 및 간 기능을 원활하게 해서, 팽만감 및 경련을 완화시키고 지방 연소를 촉진시켜 식사 후 마시는 차로도 적합하다. 항산화 및 수렴 작용은 모발과 피부의 손상과 노화를 막아주며, 상처의 치유에도 도움이 된다. 17세기 영국의 약초학자 니콜라스 컬페퍼는 “모든 종류의 감기, 건망증, 두통에 대한 만병통치약”으로 로즈메리를 설명하기도 했다.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관목인 로즈메리의 고향은 지중해 연안, 따뜻한 날씨를 좋아하지만 추위에도 강한 편이어서 -10도 이하로 내려가는 한국의 추운 겨울에도 실내에 두고 잘 관리한다면 여러 해에 걸쳐 계속 키울 수 있다. 가뭄에도 강한 편이어서, 물주기를 자주 깜빡하는 식물 집사에게도 알맞다. 다만 과습을 매우 싫어하므로 물을 너무 자주 주지 않는 편이 좋고, 실내에 둘 경우엔 반드시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이어야 한다.

 

수확한 로즈메리 잎은 생잎 그대로, 혹은 잘 말려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향이 무척 강한 편이어서, 요리에 쓸 때는 아주 적은 양부터 시작해서 필요한 정도로 양을 조금씩 늘려가는 편이 좋다. 모든 종류의 육류와 잘 맞는 편이지만 담백한 느낌의 가금류, 그리고 뿌리채소와 잘 어울리는데, 허브를 활용한 요리에 막 관심을 갖기 시작한 초보자에게 가장 추천하는 메뉴는 간단한 ‘로즈메리 감자구이’이다. 한입 크기로 잘게 자르거나 채썬 감자에 버터나 오일, 적당량의 소금과 후추를 버무린 후, 로즈메리 잎을 고루 뿌려서 오븐이나 프라이팬에 구워내면 된다. 늘 먹는 밥을 독특한 방식으로 조리해보고 싶다면 ‘로즈메리 밥’을 시도해볼 수도 있다. 평소처럼 밥을 하되, 손가락 길이의 로즈메리 마른 가지 2~3개와 소금 몇 자밤, 올리브 오일을 넉넉히 둘러 조리하면 서양 요리에 잘 어울리는, 로즈메리 풍미가 향긋한 밥이 된다. 잘 마른 로즈메리 가지를 식초에 넣어 3~4주 동안 우리면 ‘허브식초’가 되는데, 샐러드 드레싱으로 적합하다. 같은 방식으로 오일에 넣어 우린 ‘허브오일’ 역시 파스타용, 드레싱용으로 두루 활용할 수 있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지만, 자세한 배경이나 활용법은 잘 알려져 있지 않던 로즈메리의 이모저모를 살펴보았다. 하나의 허브 안에 이토록 오랜 역사와 무궁무진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허브를 생활 속에 가까이 두고, 그 이로움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수천 년 넘는 인류의 역사 속에서 대대로 쭉 이어져온 ‘식물과 함께 하는 삶’이라는 거대한 흐름에 동참할 수 있게 된다. 마음이 이끌린다면, 로즈메리의 산뜻한 향기와 함께 당신만의 첫 발걸음을 시작해보면 어떨지.

 

 

글 강수희 (허벌리스트. 생활 속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허브의 이로움을 ‘곰과 호랑이 허브(@bear.tiger.herb)’와 ‘코너샵(@hi_corner_shop)’을 통해 공유하고 있다)

 

 

'허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위를 쫓는 시원한 민트  (0) 2023.08.21
꽃의 여왕, 장미  (0) 2023.08.21
봄날의 샛노랑 요정, 민들레  (0) 2023.05.02
약초들의 어머니, 쑥  (0) 2023.05.02
이롭고 향기로운 토끼풀 (클로버)  (0) 2023.05.02
Posted by 솔밧